(2009년 12월 25일 자료)
rp-12는 기존 C표시의 opamp기반 회로로 디스트를 만들어낸다. 완전 아날로그 꾹꾹이방식인데 gain컨트롤은 rp-12의 Z80이라는 mcu가 B표시의 LM1973N이라는 디지털방식 어테뉴에이터를 제어한다.
LM1973N은 제어신호를 받아서 C표시의 opamp회로들의 피드백 게인을 컨트롤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rp-12의 디스트인 그런지, 오버드라이브, 헤비 서스테인들의 gain이 조절된다.
LM1973N의 간략한 다이어그램을 아래에 보면,
channel이 3개에 mcu로부터 clock, load/shift, data-in을 통하여 control data를 받게 된다.
channel 1은 noise gate의 level control로 사용되고, channel 2는 dist, clean의 level control로 사용되고 channel 3는 dist의 gain control로 사용된다.
LM1973N의 Timing Diagram을 아래에 보면,
직렬 통신의 한 종류인데 Serial Peripheral Interface와 거의 같은 방식이다.
LS(LOAD/SHIFT)핀이 Low레벨이고 CLOCK핀에 clock frequency가 2MHz속도로 들어오는데 그 중에서 rising edge일때 DATA-IN핀으로 data를 읽어들인다.
LM1973N의 Transfer Process을 아래에 보면,
2byte를 한번에 mcu가 보내면 lm1973n은 그걸 받아서 첫번째 byte는 channel 선택으로 사용되고 두번째 byte는 db 감쇄 컨트롤에 사용된다.
아래에 각 byte에 따른 lm1973의 setting table을 보면,
예를 들어 mcu로부터 받은 수신데이터가 00000010 00100010라고 한다면 lm1973은 channel 3으로 들어온 signal을 18db 줄여서(감쇄) 내보내라고 해석하게 되는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자료를 찾아가며 알아냈는데 결정적으로 lm1973은 고전압용이 아니라 opamp같은 저전압증폭회로에만 사용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국 진공관회로의 고압에 견딜수 없을거라 판단되어 아쉽게도 다른 방법을 찾아내었는데 A표시의 atmega8이라는 muc의 spi기능으로 rp-12와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atmega8의 SS/핀과 CLK핀, MOSI핀은 각각 lm1973의 L/S핀, CLOCK핀, DATA-IN핀과 같은 역활을 한다.
atmega8 Pin19 ------------ Pin9 lm1973n
Pin17 ------------ Pin11
Pin16 ------------ Pin10
위와 같이 연결하고 atmega8의 spi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lm1973처럼 register set table을 만들어주면 rp-12에서 dist gain을 변경할때마다 atmega8은 실시간으로 gain data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atmega8은 그 gain data를 토대로 진공관회로의 gain을 조절하게 된다.
gain조절에 관한 내용을 다음 차트에서..
'Modify > rp-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12 modify ( 2 tube install & digital gain control) part2 (0) | 2014.05.09 |
---|---|
rp-12 modify (tube install) (0) | 2014.05.09 |